workSpace/LINUX

[리눅스] 리눅스 커널 로직 및 간단한 설명

J o e 2021. 2. 23. 12:04

전반적인 로직

파티션을 나누는 이유는 메모리를 잘 관리 하기 위해서 사용한다.

파일 시스템 : fat32, ntfs, ext2, ext3, ext4 파일의 포멧이 다른경우 각자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야한다. (파일마다 공부를 해야함)

공부를 하려면 시간이 많이 듦으로 쉽게 사용할수 있게 리눅스에서 라이브러리를 제공해준다.

open('dev/tty0', 'rw')으로 장치를 열면 사용이 가능하다.

ND = 네트워크 장치 제어
CD = 일반 입출력 장치 제어
BD = usb나 대용량 메모리 장치 제어

ND CD BD (Network device-driver, Character device-driver, Block device-driver) 는 vfs(가상 파일 시스템)에 연결 되어있다. 즉, device-driver는 하드웨어를 아랫단에서 초기화 및 윗 단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기반을 구현한다.